학회 한국화학공학회
학술대회 2018년 봄 (04/25 ~ 04/27, 창원컨벤션센터)
권호 24권 1호, p.1015
발표분야 에너지환경 재료 및 응용 심포지엄(재료부문위원회)
제목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플라즈마 기술 응용
초록 최근 들어 계절을 가리지 않는 미세먼지의 발생으로 인해 미세먼지로부터 국민의 건강한 삶을 지켜내는 일은 정부 100대 국정 과제에 포함되는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이에 따라 연구 현장에서도 발생원 제어, 현황 모니터링 등 다양한 형태로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연구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미세먼지의 발생은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기계시스템의 관점에서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주된 발생과정은 ‘연소’ 과정이다. 연소과정은 1차적으로 입자상의 탄소 및 다양한 탄소계 유기물질을 배출 할 뿐 아니라, 2차 발생원으로서의 NOx, SOx 가 배출되는데, 우리 생활의 에너지와 동력은 사실상 거의 연소 과정을 통해 얻어지기 때문에 연소제어 및 연소 후처리를 통한 미세먼지의 1,2 차 발생원 제거는 미세먼지 대응 기술의 가장 중요한 핵심이 된다. 본 발표에서는 특히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한 연소 및 연소 후처리 기술에서의 미세먼지 저감의 다양한 적용 사례들을 제시하고 그 기술적 원리들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플라즈마가 미세먼지 저감에 활용된 사례로는 경유차 배출 매연의 제거를 위한 DPF(Diesel Particulate Filter)의 재생 장치, 연소안정성을 높인 저 NOx 버너, SCR 시스템에서의 Urea 기화기, 저온 SCR 촉매 재생 등이 있으며 이들 응용 분야 들에서의 플라즈마의 역할에 대해 소개하도록 한다.
저자 이대훈
소속 한국기계(연)
키워드 플라즈마(Plasma) ; 질소산화물(NOx) ; 연소후처리(After-treatment) ; 미세먼지(fine dust)
E-Mail
VOD VOD 보기
원문파일 초록 보기
Create a Mobile Website
View Site in Mobile | Classic
Share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