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 한국화학공학회
학술대회 2018년 가을 (10/24 ~ 10/26, 대구 EXCO)
권호 24권 2호, p.2180
발표분야 미립자 측정 및 분석 기술 심포지엄(미립자공학부문위원회)
제목 석탄 화력발전소 굴뚝 내 PM10, PM2.5 미세먼지 측정 기술
초록 발전소와 사업장 등 산업 현장의 굴뚝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배출량은 우리나라 전체 1차 미세먼지 배출량의 47%, 전구물질인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의 76%, 40%를 차지하고 있어 미세먼지 배출의 가장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환경부, 2013). 환경부에서는 발전소, 제철소와 같이 대형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먼지, SOx, NOx 등의 오염물질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으나 먼지 농도의 경우 총부유분진(TSP; Total Suspended Particles) 기준으로만 측정하고 있어 1차 미세먼지 배출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전소 굴뚝에서의 PM2.5, PM10 미세먼지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이젝터-다공튜브형의 고온-상온 2단 희석장치를 개발하여 굴뚝의 고수분 고농도 환경의 미세먼지를 저수분 저농도 환경으로 변환시킬 수 있었다. 특히 이젝터 부분에서 발생하는 큰 먼지의 손실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다공튜브형 희석부가 이젝터 후단 혼합부에 바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희석된 배기가스를 대기 측정용 광산란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PM1.0, PM2.5 및 PM10으로 측정하였고, 입자 밀도와 희석비, 샘플링 손실 등을 고려하여 굴뚝 내의 미세먼지 농도로 환산하였다. 이를 표준 중량법 측정방법인 EPA 201A와 ISO 23210 방법으로 측정한 PM10, PM2.5 농도와 비교하여 교정하였다.
저자 한방우
소속 한국기계(연)
키워드
E-Mail
VOD VOD 보기
원문파일 초록 보기
Create a Mobile Website
View Site in Mobile | Classic
Share by: